Tableau의 민족

2. Tableau 기본 개념

댕구리댕댕구리 2022. 11. 6. 16:01
728x90
반응형
SMALL

1. 조인 과 릴레이션

  • Tableau를 실행시키고 왼쪽 아래의 '슈퍼스토어 - 샘플'을 실행
  • 뷰 화면이 나오면 왼쪽 아래에 '데이터 원본'를 클릭. 아래의 화면 출력
  •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다면 왼쪽 상단에 있는 '추가'를 통해 데이터를 추가

 

1 - 1. 릴레이션

  • 위 관계처럼 이음줄(noodle)으로 논리적 테이블이 연결된 모습
  • 특별한 작업 없이 공통 열이 1개만 있다면 드래그만으로 연결
  • 대부분은 알아서 연결이 되지만 공통 열 기준을 변경하고 싶다면 실선을 클릭하여 변경
  • 릴레이션은 논리적 테이블이 병합된 것이 아니여서 결합된 상태로 저장 불가
  • 데이터의 양이 방대할 경우 릴레이션된 모든 데이터를 읽고 나서 출력하기 때문에 렉이 발생

1 - 2. 조인

  • 논리적 테이블(캔버스에 끌어온 데이터)를 2번 클릭하면 가능(유니온 작업도 동일)
  • 병합시 벤다이어그램이 형성. 유형은 INNER, OUTER, LEFT, RIGHT
  • 조인은 릴레이션과는 다르게 정적인 결합 방식으로 항상 단일 테이블 병합
  • 조인의 종류 또는 기준 열에 따라 결과값이 변동되기 때문에 기준 선정 필수
  • 조인은 미리 물리적 테이블 단계에서 정의되어야함. 변경시 동일 데이터 원본을 사용하는 모든 시트에 영향
  • 일치하지 않는 값이 누락되거나 필드가 서로 다른 세부 수준에 있다면, 집계값이 중복되어 중복을 제거 작업 필요

 


2. 라이브와 추출

2 - 1. 라이브

  • 기초 데이터에 대한 직접 연결 포함
  • 고성능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활용하거나 시각화된 데이터를 최신 상태로 변경
  • 라이브 연결시 Tableau가 데이터베이스나 다른 원본을 직접 쿼리하여 통합문서에서 사용 가능
  •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에서 연결, 필터링 가능
  • 단,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연결에 대한 렉 발생


2 - 2. 추출

  • 추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논리적 테이블, 물리적 테이블 중 하나를 사용해 데이터 저장
  • 필터, 집계 같은 추가적인 추출 속성을 사용하여 추출의 데이터양을 제한하려는 경우에 사용
  • 추출하는 작업에서는 시간과 DB 비용이 크지만, 한 번 추출한 후에는 성능 향상

 

  • 추출을 선택하고, 편집 선택
  • 출력되는 형식은 .hyper 형식
  • '표시된 차원에 대한 데이터 집계'를 통해 날짜별 기준으로 데이터 집계가 가능
  • '증분 새로 고침'은 DB에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될 때마다 동일하게 적용
  • '사용되지 않은 모든 필드 모두 숨기기'는 원하는 데이터만 불러옴

  • 실제 출력 형식(10.4 버전 기준으로 이전에는 .tde 형식)
  • .hyper의 장점은 더 큰 집합에서 빠른 추출 만들기 가능

 

3. 추가 자료

  • 직접 정리한 태블로 대시보드 공유

01.조인, 릴레이션, 라이브, 추출 개념 대시보드_인턴 방은호.twbx
1.48MB

728x90
반응형
LIST